머 리 말
임상에서 요의 물리적 및 화학적 검사와 요침사의 현미경적 검사는 임상병리검사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특수한 장비 없이도 시행할 수 있고,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며 단시
간 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특성으로 각종 질환의 조기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되므로 요검사학
은 임상병리학에서 기초학문으로 필수과목이다.
최근 의료환경과 병원에서의 검사방법 및 의료장비가 하루가 다르게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
고, 산업체의 기술력 발달로 다양화, 세분화, 전문화됨에 따라 임상병리사의 높은 기술능력이
요구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이에 따라 대학에서도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능력을
배양하고 현장감 있는 학습자료 개발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임상에서 지적하고 있는 문제점은 현장적응력 부족과 병원에서 검사하지 않는 검사법
및 내용소개 등의 공급자 중심의 교육, 전공 관련 기술과 환경변화에 맞는 요검사학 교재 개발
이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학은 임상현장의 연계된 직업교육에 더욱 충실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산업협력의 기술과 환경변화에 맞는 새로운 교재 개발이 필수라고 생각하면서 수요
자 중심의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을 하여야 한다.
본 교재는 산업체와 연계된 실무중심의 검사내용을 위주로 하여 과도한 이론강의는 피하고
핵심내용만을 간결히 기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임상현장에 부합된 Routine urinalysis 검사항
목과 요침사의 현미경적 검사에서 다양한 특수 현미경에 의한 정상 및 비정상 요침사를 계통
적으로 Color 사진과 함께 소개하였으며, 현재 병원에서 주로 검사하지 않는 검사법은 기타 측
정법이란 장에서 간단히 소개하였다. 아울러 의과대학이나 대학의 임상병리학과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참고서가 되길 바랄 뿐이다.
또한 임상현장에 적합한 교재를 준비하면서 최선을 다하고자 심혈을 기울였으나 부족한 부
분이나 아쉬운 점 또는 조언해 줄 부분이 있다면 겸허하게 수용하고 개정판이 출간될 때 적극
수정·보완할 것을 다짐드리며, 본 교재가 완성되기까지 노고를 아끼지 않으시면서 집필에 최
선을 다해 주신 여러 교수님 그리고, 본 교재의 출판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고려의학
최병진 사장님과 임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2015년 2월
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