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저자서문 통증 관리를 위한 영상 유도 중재술은 촉진 지침(palpation guidance)과 함께 수행된 이후로 발전했습니다. 이후 형광 투시 유도 중재술을 활용한 통증 관리가 척추 통증의 치료에 등장했습니다. 레지던트 또는 펠로우쉽 기간 동 안 수련의들은 표준치료 및 광범위한 중재적 통증 관리 기술에 대한 경험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다양하고 우수한 자료들이 있지만, 중재적 통증 관리 기술을 배우고 가르치는 데에 있어서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부족한 상태 입니다. 이 핸드북의 목표는 중재적 통증 관리를 시행하는 의사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것과 중재 절차 에 대한 역동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중재적 통증 관리 절차에 대한 기술을 이해하고 시각 화하는 것입니다. 또한 중재적 통증 관리 의사가 치료하며 접하는 일반적인 통증의 원인, 신체검사 방법 및 치료 계획도 담고 있습니 다. 이 책에 사용된 의료 삽화를 그려주신 Dr. Ramesh Mathur에게 감사드립니다.
Michael Sabia Rajat Mathur
역자대표 서문 통증 치료에 있어서 영상 유도 장치(C-arm)를 이용한 중재적 치료법은 통증 치료의 중요한 술기 중 하나입니다. 현 재까지도 통증 치료를 하는 많은 의사들이 영상 유도 장치(C-arm)를 이용한 중재적 치료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특히 경추나 요추의 경우에 그 중요성은 더욱 더 큽니다. 최근 들어 영상 유도 장치(C-arm)를 이용한 중재적 치료법보다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적 치료법들이 더욱더 널리 알 려지면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치료법을 다룬 책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상 유도 장치(C-arm)를 이 용한 중재적 치료법에 대해 다룬 책들은 잘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아마도 영상 유도 장치(C-arm)를 이용한 중재 적 치료법은 대부분 수련의 과정 또는 임상에서 경험적으로 배우거나 익히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임 상적 경험이나 기회는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이 책은 영상 유도 장치(C-arm)를 이용한 중재적 치료를 시작하려는 분 들에게 좋은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이 책은 영상 유도 장치(C-arm)를 이용한 다양한 중재적 치료법에 대해 핸드북 형식으로 보기 쉽게 정리되어 있습 니다. 더불어 각 술기의 영상을 제공하여 보다 더 입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각 치료법의 적응증부터 주의해야할 점과 합병증까지 포괄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원저의 내용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번역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함께 번역에 힘써주신 여러 원장님들께도 감사 의 말씀드립니다. 이 책이 C-arm을 이용해 통증 치료를 하시는 여러 선생님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서울선정형외과 척추센터 센터장 고동찬
|
|
|
※서평을 쓰시면 관리자 확인 후 일정 포인트(1,000포인트이상)의 적립금을 적립해 드립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