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에서는 유발전위면에서 피질-피질유발전위를 추가하였다. 수술중신경계감시에서 추적감시면에서는 extraocular motor monitoring, vocal cord monitoring, bulbocavernous reflex monitoirng을 추가하였고, 기능평가면에서는 피질-피질유발전위검사를 추가하였다. 또한 부록에도 기본적인 유발전위와 수술중신경계감시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머리말〉 처음 이 책을 출간하게 된 동기는 수술중신경계감시를 배우고 삼성서울병원에서 처음 시행한 지 10년 정도 지나면서 더욱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삼성서울병원에 많은 교수, 전임의, 기사들이 연수를 받으러 왔다. 그러나 국내 실정에 맞게 이를 설명하는 우리나라 책자가 없어 아쉬웠다. 그래서 수술중신경계감시를 쓰기 시작했고, 이에 기본이 되는 유발전위검사를 같이 쓰게 되었다. 점차 전문화되고 세분화되는 신경생리 영역에서 전문학회 중심의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개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왔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어느 정도 검사를 수행하고 기본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내용이 될 수 있지만, 새로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본 내용부터 응용부분까지, 유발전위부터 수술중신경계감시까지 집필하게 되었다.
그 후 유발전위의 획기적인 발전은 없었지만, 다양한 신경생리기법을 수술장에 동원하는 수술중신경계감시의 경우는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국내에서도 대한수술중신경계감시학회를 구성하고 5년만에 세계수술중신경계감시학회를 개최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보험급여가 시간당 수가로 잘 갖추어지면서 더욱더 다양한 수술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초판을 개정할 필요가 생겨서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개정판에서는 유발전위면에서 피질-피질유발전위를 추가하였다. 수술중신경계감시에서 추적감시면에서는 extraocular motor monitoring, vocal cord monitoring, bulbocavernous reflex monitoirng을 추가하였고, 기능평가면에서는 피질-피질유발전위검사를 추가하였다. 또한 부록에도 기본적인 유발전위와 수술중신경계감시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유발전위나 수술중신경계감시는 무엇보다 기초를 닦은 후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 유발전위는 검사실에서 기사가 시행한 검사 결과 파형의 측정된 잠복기 진폭의 숫자만 보고 정상치와 비교하여 이상을 판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유발전위를 수술장으로 끌고가서 응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파형을 만들어 보고, 파형을 보는 눈을 기르고, 그 후 수술장에 끌고 들어가 환자에 맞는, 수술에 맞는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습득 과정을 거치면 더욱 유발전위에 대한 지식이 공고해지면서 검사실의 유발전위는 물론 다양한 신경생리 검사를 수술중에 응용할 수 있으며 검사실과 수술실, 중환자실, 응급실, 어디서나 신경생리검사를 쉽게 할 수 있다.
새로운 내용으로 단장한 이번 개정판이 이러한 기초를 닦는 좋은 길잡이로 더욱 사랑받기를 바란다.
2022.4.20.
서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