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진단의학의 한 분야인 ‘임상화학’은 정확한 의학적인 지식과 고도의 검사기술을 습득하는 응용적인 학문이며, 임상병리학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임상병리사’는 임상적인 검사에 관한 능력과 기술을 객관적으로 공인 받은 의료전문인으로서 확실한 이론적 지식과 검사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도출해 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가진다.
임상적인 진단 지표들의 의의와 그 지표들의 검사 방법은 ‘생화학, 생리학, 의학, 독성학, 약리학, 일반화학, 유기화학, 분석화학, 전기화학, 기기분석학, 세포공학 등’ 다양한 학문에 기초를 두고 있기 때문에, 본서(本書)에 나오는 각종의 임상지표와 측정 방법 등을 기술할 때 동일한 지표라도 다양한 단행본, 총설, 특집 단행본, 사전류, 연구논문 등에서 가장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내용을 참고로 하여 임상적이고 과학적인 객관성을 높이려고 노력했다.
본서는 필자가 ‘인제대학교 임상병리학과’에서 지난 25년간 임상병리사를 배출하기 위해 ‘임상화학’을 강의한 노트를 정리하고 보충•강화시킨 내용들을 기초로 하고 있다. ‘임상병리사 국가시험 제2교시’의 ‘임상화학’ 분야에 관해 중점적으로 집필한 것이지만 ‘요화학’ 분야도 일부 포함하여 (1) 핵심 이론 요점 정리, (2) 이론 문제(해설 포함) 및 실기 문제(해설 포함)로 구성되어 있다.
* 이 책의 특징
(1) 임상화학 검사 이론(12단원) 요점 정리 - 임상화학 분야(요화학 분야 일부 포함)의 학습 목표에 준한 학습 내용을 표와 그림(맵)으로 정리 - '표'에는 임상지표물질들의 특성, 관련 질환 및 측정법을 이해하기 쉽도록 일목요연하게 정리 - '그림(맵)'에는 어느 한 가지의 병리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임상적으로 연계성 있게 정리하고, 임상적 평가 지표를 제시
(2) 임상 화학 문제(57회, 1,600문항) - 임상 화학 검사 이론 문제와 임상 화학 검사 실기 문제로 구성되어 있고, 해설을 과학적으로 정리 - 기 출제된 임상병리사 국가시험 문제를 철저하고 면밀히 분석하여 '기출유사문제'와 출제 가능성이 있는 '중요문제' 수록 - 국시에 출제되는 주요 용어 정리 - 미국 임상병리사 협회(ASCP)의 임상 화학 문제를 철저히 분석하여 본서의 유사문제 및 유사율(평균 84.0%)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