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골반저 질환-빈뇨, 요실금, 골반통, 배변장애

저 자 : 이두진

 

Isbn# is : 8992006527

출판사 :

가본의학

출판일 :

2009-01-00

ISBN10 :

8992006527

ISBN13 :

9788992006521

Edition :

1

Page :

285 Pages [ Hardcover ]

정가 :

₩70000

한국정가 :

70000 원

판매가 :

63,000원

적립금 :

1,260

주문수량 :

 

평점 :

 

DescriptionContentsReview
     Description
책머리에

이 책의 최초의 목적은 요실금 수술을 최고 10일 이상 입원해야 하는 큰 외과적 시술에서 당일 귀가 정도의 소 수술로 줄이는 것이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처음부터 명백한 두 개의 중요한 장애는 수술 후의 통증과 요 정체였다. 이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 길고 험한 노정이었고, 결국 Integral 이론으로 귀결되었다.Intravaginal Sling(IVS) ‘무장력’ 수술은 Dr. Robert Zacharin의 해부학적 연구로부터 영감을 얻었다. Zacharin은 요 자제의 조절에서 요도 주위의 인대와 근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어떻게 조절하는지는 말하지 않았다. 이식한 이물이 반흔조직을 형성한다는 관찰은 치골요도인대 부위에 플라스틱 테이프를 이식하면 그 인대를 강화하기에 충분한 반흔조직을 남길 것이고, 이것이 요도를 폐쇄하는 근육을 고정할 것이라는 가설을 이끌어냈다.
1986년 9월에 2예의 원형의 IVS 수술이 시행되었다. 치골요도인대 부위에 긴장을 가하거나 거상시키지 않고 Mesilene 테이프를 삽입했다. 두 환자 모두 수술 후 바로 요 자제가 회복되었고, 카테터 도뇨 필요 없이 수술 다음날 퇴원했다. 통증은 경미했고, 요 자제는 즉시 회복되었다. 6주 후에 테이프를 제거했는데, 두 환자 모두 10년 후의 마지막 관찰 때가지 요 자제가 유지되었다. 이 결과는 중부 요도 고정점의 중요성을 확정하는 것으로 보였다. 더욱이 이 수술에서는 방광경부의 거상이 없었으므로, 유포되고 있던 Enhorning의 ‘압력 평형(pressure equalization) 이론’의 신뢰도에 의문을 남겼다.1987년에 Royal Perth 병원의 John Papadimitriou 교수와 그 동료들과 함께 테이프 이식의 안전도, 효과, 그리고 작용방식(modus operandi)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일련의 동물실험 연구가 수행되었다. 테이프 이식은 안전했고, 이식 부위에 collagen의 선상 침착을 형성함으로써 작용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1988년부터 1989년 사이에 Western Australia의 Royal Perth 병원에서 최초의 30예의 수술이 시행되어 중부 요도에 적용할 수 있는 질 내 Mersilene 슬링을 유치했다. 슬링은 거상된 위치로 유치했는데, 수술 후에 요의절박감과 요류 폐색을 초래했다. 그 슬링의 위치를 낮추었을 때 증상은 없어졌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요 자제를 유지했다.
수술 전후의 X-선 사진을 비교했을 때 방광경부의 거상이 명확한 경우는 없었으며, 이것은 요 자제에 있어서 ‘압력 평형 이론’을 무효화하는 것으로 보였다. 더욱이 중부 요도의 테이프를 지혈겸자로 집고 고정했을 때, 원위부 요도는 앞쪽으로 움직였지만 Foley 카테터 풍선은 중부 요도 지점 주위를 뒤쪽과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관찰로부터 두 개의 분리된 ‘폐쇄기구’의 개념이 부각되었다. 1년 후에, 알려진 해부학과 함께 이 본질적으로 공통점이 없는 소견을 통합하는 이론적인 틀이 개발되었다(Integral 이론, 1990). 관건이 되는 개념은 정상적인 방광의 기능에는 현수인대가 필수적이며, 방광의 기능부전은 동일한 인대 내의 결합조직의 손상 때문에 나타난다는 것이다.1990년에 Ulf Ulmsten 교수와의 공동연구가 시작되어, 연구가 진행되면서 Integral 이론의 첫 형태가 발표되었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복압성 및 절박성 요실금은 주로 질이나 질을 현수하는 인대의 이완에 의해서 발생하며, 그것은 collagen/elastin의 변화의 결과이다.

분리된 요도와 방광경부의 폐쇄기구가 기술되었고, 1990년의 복부 초음파 연구에서 요도는 hammock 폐쇄기구에 의해 뒤쪽으로부터 폐쇄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비신경학적 환자에서 방광 불안정은 배뇨반사의 조기 활성화로 정의되었다. 1993년의 Integral 이론의 두 번째 발표에서는 방사선학적 및 요역동학적 연구와 더 높은 수준의 증거가 제시되었다.적용방식과 수술의 방법론에 의거해서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다섯 개의 원형의 요도 하 슬링 수술이 분석되었다(Integral
Theory, 1993). 남은 문제는 비교적 높은 빈도의 Mersilene 테이프의 미란이었는데, 이 문제는 1996년 Ulmsten 교수의 스칸디나비아 그룹의 polyprophylene mesh 테이프 사용을 통해 대부분 해결되었다(Ulmsten 등, 1996). ‘후 질원개 증후군’도 기술되었다(Integral Theory, 1993). 후방 인대를 재건함으로써 요의절박감, 야간 빈뇨, 배출장애 및 골반 통증이 개선되었는데 이 발견
은 도식화 진단체계의 구성에 원천적인 것이다.2003년까지의 10년은 Integral 이론의 많은 부분이, 특히 중부 요도 슬링에 의한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가 격려를 받았고, 국제적으로 수용되었으며 이론의 틀은 변 실금, 배출장애, 그리고 일부 골반 통증까지로 확장되었다. 새로운 초음파 및 요역동학 테크닉은 특히 이 책의 뒤에 기술되는 ‘모의수술’과 함께 사용했을 때 진단의 정확도를 보장해 준다. 수술 방법론의 개선은 Integral 이론의 확장과 함께 평행한 길을 달려왔는데 이 수술방법들은 Integral 이론 시스템에서 기술한 바대로, 절제와 접근에 따른 전통적인 질 수술방법이 구조를 회복하기 위한 조직의 강도를 충분히 회복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개발된 것이다. 이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여분의 질 조직을 재이용하는 ‘교량복구’와 같은 이중 층 테크닉이나(Petros, 1998) 후방 IVS가 개발되었다(Petros, 2001). 중부 요도 슬링에 더해서 요도 하 hammock을 강화하면 복압성 요실금과 내인성 괄약근부전의 치유율을 높인다(Petros, 1997). 후방 슬링은 더욱 개선되고 간략하게 되었다.특히 새로운 조직고정 시스템(TFS)은 골반저의 어떤 인대나 근막의 결함도 복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무장력 테이프’ 슬링에 커다란 발전 가져왔다. TFS 수술은 더 해부학적이고, 훨씬 덜 침습적이며, 직시 하에서 시행할 수 있다.이 책은 Integral 이론의 아이디어가 더욱 명료해지고 전파되도록, 그리고 여성 골반저의 문제를 없애기 위한 이론, 진단, 그리고 수술 테크닉의 발전에 필요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저술되었다.제 1장은 서론과 Integral 이론의 개관이다. 이 장은 처리해야 할 ‘문제’, 즉 골반저 기능부전의 여러 증상, 현재의 지식과 치
료를 요약했다. 개관은 정상 기능을 설명하고, 기능부전의 원인과 손상된 구조의 진단, 그리고 Integral 이론에 따른 최소 침습적 수술적 복구의 원리를 소개한다.제 2장은 독자가 인대와 근력의 역할에 친숙해지도록, 그리고 이들이 골반 장기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데 어떻게 협동적으로
작용하는가를 기술한다. 이 장은 골반저의 해부학과 서로 관계하는 골, 근육, 인대 및 장기의 역할을 구조, 형태, 그리고 생물공학의 맥락에서 기술하고 골반저의 정적 및 역동적 해부학과, 기능과 기능부전에서 결합조직에 의한 원천적인 역할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 이 장에서는 Integral 이론 진단시스템, 수술적 해부학과 테크닉의 중심 부분이 되는 질의 ‘세 영역’의 개념을 소개한다.
제 3장은 질의 세 영역에서의 결합조직 손상의 진단에서 Integral 이론 시스템을 기술한다. 두 진단 경로를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일반의를 위한 임상적 진단 경로와 골반저 전문의를 위한 구조적 평가 경로이다. 이 경로의 구성요소와 진단 과정에서의 그들의 역할이 철저하게 기술되어 있다. 진단의 검증을 위한 ‘모의수술’의 개념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Integral 이론 시스템에서 가장 가치 있는 부분이다. 이것은 수술 전에 진단된 해부학적 손상 영역을 직접 검사하는데 이용된다.제 4장은 최소 침습적 골반저 수술 개념적 기초를 기술하고, 질의 세 영역의 수술 해부학에 대한 새로운 시점을 소개한다. 이 장은 각 영역의 해부학적 결함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최소 침습적 수술, 특히 ‘무장력’ 테이프에 의한 전방 및 후방 슬링을 제시하고, 조직고정 시스템을 소개한다.제 5장은 Integral 이론적 접근에서 개발된 골반저 재활 운동을 설명한다. 원래 이 운동은 수술의 대안으로 디자인되었지만, 환자가 수술로 얻은 이점을 유지하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알려졌다.제 6장은 결합조직 기능부전의 ‘지도화’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를 제공하고, 요역동학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를 설명한다. 통상적인 요역동학검사 내의 많은 내부적인 모순은 카오스 이론의 틀, 비선형적 방법론, 그리고 Boolean 대수로써 설명할 수 있다.Boolean 대수는 방광의 폐쇄상과 개방상 사이의 전환의 개념을 설명하는데 이용된다. 중간 및 후방 영역에 대한 경회음 초음파검
사의 확장된 이용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제 7장은 Integral 이론 시스템의 앞으로의, 특히 변 실금에 관한, 발전에 관계된 현재의, 그리고 부각되고 있는 논제에 관해 기술한다. 진단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는 새로운 과학적인 개념, 방법론, 그리고 테크놀로지의 잠재력에 대하여 논의하고 인터넷을 통해 개발된 광대한 데이터베이스의 잠재력을 통합하는 컴퓨터에 기반을 둔 진단시스템인 Integral 이론 진단시스템(ITDS)을 제시한다.제 8장은 결론이다. 이론에서부터 실용화한 시스템까지의 Integral 이론의 진화의 발자취를 간략하게 더듬어보고, 앞으로 이 골반저 과학의 새로운 방향을 위한 인터넷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한다.진단과정에서 사용되는 설문지와 그 외의 도구들은 부록 1에 포함시켜 기술했다. 참고문헌과 참고자료는 부록 2에 포함되어 있다.

     Contents
     독자서평
※서평을 쓰시면 관리자 확인 후 일정 포인트(1,000포인트이상)의 적립금을 적립해 드립니다.


 

 

 

 

회사소개  |  FAQ  |  물어보기  |  ID,PWD찾기  |  E-mail  |  Foreigner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출판의뢰  |  대량주문
▲Top  
매장주소: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168 마곡747타워 1303호(지하철5호선 마곡역 6번출구)

전화: 02-763-9188 | 팩스: 02-763-5490 |

HP: 010-3750-5497 | 대표: 주필체 | 사업자: 130-90-16309 [통신판매]제 01-3604호 
Copyright 2001 by 바이오메디북(Biomedbook)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