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역류질환은 가슴쓰림, 산역류 등의 전형적 증상과 다양한 비전형적 증상으로 환자들이 일상적인 삶의 질 저하와 고통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식도협착, 바렛식도, 나아가 식도암까지도 합병될 수 있는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7년 벨기에 Genval에서 열렸던 워크샵에서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세계적 진료지침이 만들어졌고, 이후 병태생리, 역학, 진단, 치료에 관한 많은 기술적 진전과 연구업적들이 나오면서 여러 번에 걸친 세계적인 합의 도출 모임과 그 결과들이 발표된 바 있습니다.
또한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하여 기존에 알려졌던 여러 사실들 이외에도, 연구들이 계속 되면서 그 결과로 식도, 위, 십이지장의 운동, 바렛식도 및 식도암의 발생기전, 새롭게 등장한 치료법들과 그 효과 등에 관한 사실들이 알려지고 있습니다.
대한소화관운동학회에서는 2002년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총서를 발행한 이후 발표된 국제적인 합의도출모임 보고들과 국내외 역학적 연구결과 밝혀진 새로운 사실들, 또 여러 검사 및 치료법들의 발전과 이에 따라 새롭게 알려진 내용들을 반영한 개정판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최신 지견들을 충실히 담기 위하여 이 분야의 국내 권위자들이 최근까지 발표된 각종 문헌들, 특히 국내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위식도역류질환에 관한 병태생리, 진단, 치료, 위식도역류질환의 생물정신사회적 이해와 삶의 질 측면까지 다루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크다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