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nder's 인체생리학 15판

저 자 : 김환규

 

Isbn# is : 8961543709

출판사 :

Eric P. Widmaier, Hershel Raff, KEVIN T.

출판일 :

2021-08-30

ISBN10 :

8961543709

ISBN13 :

9788961543705

Edition :

15판

Page :

896 Pages [ Hardcover ]

정가 :

₩48000

한국정가 :

48000 원

판매가 :

48,000원

적립금 :

0

주문수량 :

 

평점 :

 

DescriptionContentsReview
     Description
1 항상성: 인체생리학의 기본틀?1
1.1 인체생리학의 범위 2
1.2 신체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2
근육세포와 근육조직 3
뉴런과 신경조직 3
상피세포와 상피조직 3
결합조직세포와 결합조직 4
기관과 기관계 4
1.3 체액 구획 5
1.4 항상성: 생리학의 정의적 특징 6
1.5 항상성 조절계의 일반적 특성 7
되먹임 시스템 8
설정점의 재설정 10
앞먹임 조절 10
1.6 항상성 조절계의 구성요소 11
반사 11
국소적 항상적 반응 12
1.7 항상성에서의 세포 간 화학 전령의 역할 12
1.8 항상성과 관련된 과정 14
적응과 순응 14
생체 리듬 14
체내 화학 물질의 균형 15
1.9 생리학의 일반 원칙 16
1장 임상사례 연구 20
연습문제 22
생리적 의문의 답 22

2 신체의 화학적 구성과 생리학과의 관계?23
2.1 원자 24
원자의 구성요소 24
원자번호 25
원자량 25
이온 25
신체의 원자 조성 26
2.2 분자 27
공유 화학결합 27
이온결합 29
수소결합 29
분자 모양 29
이온 분자 30
자유 라디칼 31
2.3 용액 31
물 31
분자 용해성 32
농도 32
수소 이온과 산성도 33
2.4 유기 분자의 종류 34
탄수화물 34
지질 36
단백질 39
핵산 43
2장 임상사례 연구 48
연습문제 49
생리적 의문의 답 51

3 세포 구조, 단백질, 그리고 대사 경로?53
A절 세포 구조 54
3.1 세포의 현미경적 관찰 54
3.2 막 55
막 구조 55
막 연접 58
3.3 세포소기관 59
핵 59
리보솜 61
소포체 62
골지체 62
엔도솜 63
미토콘드리아 63
리소좀 64
퍼옥시좀 64
볼트 64
세포골격 65
B절 단백질 합성, 분해 및 분비 67
3.4 유전암호 67
3.5 단백질 합성 69
전사: mRNA 합성 69
번역: 폴리펩타이드 합성 70
단백질 합성의 조절 73
돌연변이 74
3.6 단백질 분해 75
3.7 단백질 분비 76
C절 단백질과 리간드의 상호작용 78
3.8 결합부위 특성 78
화학적 특이성 79
친화력 80
포화 80
경쟁 81
3.9 결합부위 특성의 조절 82
다른자리입체성 조정 82
공유 조정 83
D절 화학반응과 효소 84
3.1 화학반응 85
반응속도 결정요인 85
가역 및 비가역 반응 85
질량작용의 법칙 86
3.11 효소 86
보조인자 87
3.12 효소-매개 반응의 조절 88
기질 농도 88
효소 농도 88
효소 활성 88
3.13 다효소 반응 89
E절 대사 경로 91
3.14 세포의 에너지 전달 92
해당과정 92
크렙스 회로 94
산화적 인산화 96
3.15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 98
탄수화물 대사 98
지방 대사 100
단백질과 아미노산 대사 102
대사 요약 104
3.16 필수 영양소 104
비타민 105
3장 임상사례 연구 108
연습문제 109
생리적 의문의 답 111

4 세포막을 통한 용액과 물의 이동?113
4.1 확산 114
확산의 크기와 방향 114
확산 속도와 거리 115
막을 통한 확산 115
4.2 매개-수송 체계 119
촉진 확산 120
능동 수송 120
4.3 삼투 125
세포외액의 삼투 농도와 세포 부피 127
4.4 세포내유입과 세포외방출 129
세포내유입 129
세포외방출 131
4.5 상피 수송 131
4장 임상사례 연구 136
연습문제 137
생리적 의문의 답 139

5 생리학에서의 세포 신호 전달?141
5.1 수용체 142
수용체의 유형 142
수용체와 리간드 사이의 상호작용 142
수용체의 조절 145
5.2 신호 전달 경로 145
지용성 전령에 의해 시작되는 경로 146
수용성 전령에 의해 시작되는 경로 146
주요 2차 전령 149
기타 전령 153
신호 전달 경로에서의 활동 중단 155
5장 임상사례 연구 158
연습문제 159
생리적 의문의 답 161

6 신경의 신호전달과 신경계의 구조?163
A절 신경계의 세포 164
6.1 뉴런의 구조와 유지 164
6.2 뉴런의 기능적 분류 166
6.3 신경아교세포 168
6.4 신경의 성장과 재생 169
뉴런의 성장과 발생 169
축삭의 재생 170
B절 막 전위 172
6.5 전기의 기본 원리 172
6.6 안정막 전위 172
안정막 전위의 특성과 크기 173
이온농도 차이의 기여 174
다른 이온 투과성의 기여 176
이온 펌프의 기여 176
안정막 전위 발생의 요약 177
6.7 차등전위 및 활동전위 178
차등전위 178
활동전위 180
C절 시냅스 188
6.8 시냅스의 기능적 해부 189
전기적 시냅스 189
화학적 시냅스 189
6.9 신경전달물질 방출 기작 190
6.1 시냅스후 세포의 활성화 190
수용체에 대한 신경전달물질의 결합 190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 제거 191
흥분성 화학적 시냅스 191
억제성 화학적 시냅스 191
6.11 시냅스 통합 192
6.12 시냅스 강도 194
시냅스전 기작 194
시냅스후 기작 195
약물과 질병에 의한 시냅스 전달의 수정 195
6.13 신경전달물질 및 신경조절물질 196
아세틸콜린 196
생체 아민 198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 199
신경 펩타이드 200
기체 201
퓨린 201
지질 201
6.14 신경효과기 교신 202
D절 신경계의 구조 204
6.15 중추신경계: 뇌 204
전뇌: 대뇌 204
전뇌: 간뇌 207
후뇌: 소뇌 208
뇌간: 중뇌, 뇌교, 연수 208
6.16 중추신경계: 척수 208
6.17 말초신경계 209
6.18 자율신경계 211
6.19 뇌와 관련된 보호적 요소 214
뇌척수막과 뇌척수액 214
혈액-뇌 장벽 217
6장 임상사례 연구 219
연습문제 221
생리적 의문의 답 223

7 감각 생리학?225
A절 일반 원칙 226
7.1 감각 수용체 226
수용체 전위 227
7.2 1차 감각 암호화 228
자극 유형 229
자극 강도 229
자극 위치 229
구심성 정보에 대한 중추 조절 233
7.3 감각기관의 상행 신경경로 233
7.4 피질 및 지각 처리 연합 234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5
B절 특수 감각계 237
7.5 체성 감각 237
촉각과 압력 237
자세와 운동 238
온도 238
통증과 가려움 239
체성 감각계의 신경경로 241
7.6 시각 242
빛 242
눈의 해부학적 개요 243
시각의 광학 243
광수용체세포와 광전도 246
시각의 신경 경로 249
색 시각 250
색맹 252
안구운동 252
눈의 일반적인 질병 253
7.7 청각 254
소리 254
귀에서의 음파 전달 254
코르티 기관의 유모세포 256
청각 신경 경로 259
7.8 전정계 259
반규관 260
난원낭과 구형낭 260
전정 정보 및 경로 261
7.9 화학적 감각 262
미각 262
후각 263
7장 임상사례 연구 268
연습문제 270
생리적 의문의 답 272

8 의식, 뇌 그리고 행동?275
8.1 의식 상태 276
뇌파 276
깨어있는 상태 277
수면 278
의식 상태의 신경 기질 279
혼수상태와 뇌사 282
8.2 의식 경험 282
선택적 주의 283
의식 경험의 신경 기작 284
8.3 동기 부여와 정서 285
동기 부여 285
정서 286
8.4 이상 의식 상태 288
조현병 288
기분 장애: 우울증과 조울증 288
정신활성물질, 내성 그리고 물질 사용 장애 289
8.5 학습과 기억 290
기억 291
학습과 기억의 신경 기반 292
8.6 반구 우위 및 언어 293
8장 임상사례 연구 297
연습문제 299
생리적 의문의 답 301

9 근육?303
A절 골격근 304
9.1 구조 304
세포 구조 305
결합 조직 구조 305
필라멘트 구조 305
근절 구조 305
기타 근원섬유 구조물 307
9.2 골격근 수축의 분자 기작 309
막 자극: 신경근 접합부 309
흥분-수축 연관 312
활주-필라멘트 기작 313
9.3 단일-섬유 수축의 역학 317
연축 318
하중-속도 관계 318
빈도-장력 관계 319
길이-장력 관계 321
9.4 골격근 에너지 대사 323
크레아틴 인산 323
산화적 인산화 324
해당과정 324
근육 피로 324
9.5 골격근 섬유 종류 325
9.6 전체-근육 수축 326
근육 장력의 조절 326
단축 속도 조절 328
운동에 대한 근육의 적응 328
근육과 뼈의 지렛대 작용 330
9.7 골격근 장애 332
근육 경련 332
저칼슘 강축 332
근위축증 332
중증 근무력증 333
B절 평활근과 심근 337
9.8 평활근의 구조 337
9.9 평활근 수축과 조절 338
교차 다리 활성화 338
세포질 Ca2+의 원천 339
막 활성화 340
평활근의 종류 342
9.1 심근 343
심근의 세포구조 343
심장의 흥분-수축 연관 343
9장 임상사례 연구 347
연습문제 349
생리적 의문의 답 351

10 신체 운동의 조절?353
10.1 운동 조절 체계의 계층 구조 354
수의적 및 비수의적 운동 355
10.2 운동 뉴런의 국소적 조절 356
연합 뉴런 356
국소적 구심성 입력 356
10.3 뇌 운동 중추와 그들이 조절하는 하행로 361
대뇌피질 361
피질하부 핵과 뇌간 핵 363
소뇌 363
하행로 364
10.4 근육 긴장 365
비정상적인 근육 긴장 366
10.5 직립 자세의 유지와 균형 366
10.6 보행 368
10장 임상사례 연구 371
연습문제 372
생리적 의문의 답 374

11 내분비계?375
A절 호르몬과 호르몬 조절계의 일반적 특성 376
11.1 호르몬과 내분비샘 376
11.2 호르몬 구조와 합성 378
아민호르몬 378
펩타이드와 단백질호르몬 379
스테로이드호르몬 381
11.3 혈액에 의한 호르몬 운반 382
11.4 호르몬 대사와 배출 383
11.5 호르몬의 작용 기작 384
호르몬 수용체 384
호르몬-수용체 결합에 의해 일어나는 일들 385
호르몬의 약리적 효과 385
11.6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는 입력 385
무기질 이온 또는 유기 영양소의 혈장 내 농도에 의한 조절 385
신경에 의한 조절 386
다른 호르몬에 의한 조절 386
11.7 내분비 장애의 종류 386
저분비 386
과분비 387
반응성 저하 및 반응성 항진 388
B절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391
11.8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포함하는 조절계 391
뇌하수체후엽호르몬 392
뇌하수체전엽호르몬과 시상하부 392
C절 갑상샘 399
11.9 갑상샘호르몬의 합성 399
11.1 갑상샘 기능의 조절 401
11.11 갑상샘호르몬의 작용 401
대사 작용 401
허용작용 401
성장과 발생 402
11.12 갑상샘기능저하증 및 갑상샘기능항진증 402
D절 스트레스에 대한 내분비 반응 404
11.13 코티솔의 생리학적 기능 405
11.14 스트레스에서 코티솔의 기능 405
11.15 부신기능부전증과 쿠싱병 406
11.16 스트레스 중에 분비되는 기타 호르몬 407
E절 성장의 내분비 조절 409
11.17 뼈의 성장 409
11.18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410
11.19 호르몬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410
성장호르몬과 인슐린-유사 성장인자 411
갑상샘호르몬 412
인슐린 413
성 스테로이드 413
코티솔 413
F절 칼슘 항상성의 내분비 조절 414
11.2 칼슘 항상성을 위한 효과기 영역 415
뼈 415
신장 415
위장관 416
11.21 호르몬 조절 416
부갑상샘호르몬 416
1,25-디하이드록시비타민 D 416
칼시토닌 417
11.22 대사성 뼈 질환 418
고칼슘혈증 418
저칼슘혈증 418
11장 임상사례 연구 420
연습문제 423
생리적 의문의 답 425

12 심혈관 생리학?427
A절 순환계의 개요 428
12.1 순환계의 구성 요소 428
혈액 428
혈장 429
혈구 429
혈류 433
순환 433
12.2 혈압, 혈류 및 저항 435
B절 심장 438
12.3 해부학 438
심근 440
12.4 심장 박동의 조절 441
흥분의 전도 441
동방결절의 심근 활동전위와 흥분 442
심전도 445
흥분-수축 연관 445
심장의 불응기 447
12.5 심장 주기의 기계적 사건 447
확장기 중기에서 확장기 후기까지 449
수축기 449
확장기 초기 451
폐순환에서의 혈압 451
심음 451
12.6 심박출량 452
심박수의 조절 452
1회 박출량의 조절 453
12.7 심장 기능의 측정 456
C절 혈관계 459
12.8 동맥 460
동맥 혈압 461
순환 동맥 혈압의 측정 462
12.9 세동맥 463
국소적 조절 465
외부적 조절 466
내피세포와 혈관 평활근 467
특정 기관에서의 세동맥 조절 468
12.1 모세혈관 468
모세혈관망의 해부학 469
모세혈관의 혈류 속도 470
모세혈관 벽을 통한 확산: 영양소와
대사성 최종 생성물의 교환 471
모세혈관 벽을 통한 집단 흐름 : 세포외액의 분포 472
12.11 세정맥과 정맥 475
정맥압의 결정 요인 475
12.12 림프계 476
림프 흐름의 기작 477
D절 심혈관 기능의 통합: 체동맥 혈압의 조절 481
12.13 압수용체 반사 484
동맥 압수용체 484
연수 심혈관 중추 485
동맥 압수용체 반사의 작용 485
기타 압수용체 485
12.14 혈액량과 동맥압의 장기간 조절 486
12.15 기타 심혈관 반사와 반응 487
E절 건강과 질병의 심혈관 양상 489
12.16 출혈과 저혈압의 기타 원인 489
쇼크 491
12.17 직립 자세 491
12.18 운동 492
최대 산소 소비량과 훈련 494
12.19 고혈압 495
12.2 심부전 496
12.21 비대성 심근증 498
12.22 관상동맥 질환과 심장마비 498
원인 및 예방 499
약물 치료 500
치료 501
뇌졸중 및 일과성 허혈 발작(TIA) 501
F절 항상성: 혈액 손실 방지 503
12.23 혈소판 마개 형성 503
12.24 혈액응고: 혈병 형성 504
12.25 항응고 시스템 508
혈병 형성을 방해하는 인자 508
피브린 용해 시스템 509
12.26 항응고 약물 509
12장 임상사례 연구 512
연습문제 515
생리적 의문의 답 517

13 호흡기 생리학?521
13.1 호흡계의 구조 522
기도와 혈관 522
기체 교환 장소: 폐포 523
폐와 흉벽의 관계 525
13.2 환기의 원리 526
환기 526
보일의 법칙 526
경폐압 527
호흡 사이의 안정적인 경폐압 균형은
어떻게 달성되는가? 528
흡기 529
호기 529
13.3 폐의 역학 531
폐의 신전성 532
기도의 저항 534
폐 용적 및 폐활량 535
13.4 폐포의 환기 536
사강 536
13.5 폐포와 조직의 기체 교환 537
기체의 분압 538
폐포 기체 압력 539
폐포와 혈액의 기체 교환 540
폐포의 환기와 혈류의 조화 541
조직과 혈액 사이의 기체 교환 542
13.6 혈액 내 산소의 운반 542
PO2가 헤모글로빈 포화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543
헤모글로빈 포화도와 산소 운반 능력에 미치는
기타 인자의 효과 545
13.7 혈액 내 이산화탄소의 수송 547
13.8 조직과 폐 사이의 수소 이온의 수송 548
13.9 호흡 조절 549
호흡 리듬의 신경발생 549
PO2, PCO2와 H+ 농도에 의한 환기 조절 551
운동 중 환기 조절 554
기타 환기 반응 556
13.1 저산소증 557
환기-관류 이상이 CO2보다 O2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557
폐기종 558
높은 고도에 대한 순응 558
13.11 폐의 비호흡적 기능 559
13장 임상사례 연구 564
연습문제 565
생리적 의문의 답 567

14 신장 그리고 물과 무기 이온의 조절?569
A절 신장 생리학의 기본 원리 570
14.1 신장 기능 570
14.2 신장의 구조와 배설계 571
14.3 신장의 기본적 처리 과정 575
사구체 여과 576
세뇨관 재흡수 579
세뇨관 분비 581
세뇨관에 의한 물질대사 581
막 채널과 수송체의 조절 581
세뇨관의 분업 581
14.4 신장 청소율의 개념 581
14.5 배뇨 583
불수의적(척수) 조절 583
수의적 통제 583
요실금 584
B절 이온과 수분 균형 조절 586
14.6 소듐과 수분의 신체 균형 586
14.7 ?소듐과 물에 대한 신장의 기본적인
처리과정 587
1차 능동적 소듐 재흡수 587
소듐 재흡수에 대한 수분 재흡수의 공역 588
소변 농도: 역류 증폭계 589
14.8 신장의 소듐 조절 594
GFR 조절 594
소듐 재흡수 조절 595
14.9 신장의 수분 조절 598
바소프레신 분비의 삼투 수용체 조절 598
바소프레신 분비의 압수용체 조절 598
14.1 요약 예: 땀에 대한 반응 599
14.11 갈증과 염분 욕구 599
14.12 포타슘 조절 601
포타슘의 신장 조절 601
14.13 칼슘과 인산 이온의 신장 조절 602
14.14 요약?─?분업 602
14.15 이뇨제 603
C절 수소 이온 조절 606
14.16 수소 이온 획득 또는 손실 발생원 607
14.17 체 내 수소 이온의 완충작용 607
14.18 항상성 조절의 통합 608
14.19 신장의 기작 608
중탄산염 조절 608
혈장에 새로운 중탄산염의 첨가 609
14.2 산증과 알칼리증의 분류 610
14장 임상사례 연구 613
연습문제 615
생리적 의문의 답 617

15 음식물의 소화 및 흡수?619
15.1 소화계의 개요 620
15.2 위장관 벽의 구조 623
15.3 위장관 작용은 어떻게 조절되는가? 624
신경 조절 624
호르몬 조절 625
위장관 조절의 단계 625
15.4 구강, 인두, 식도 626
침 627
저작운동 627
연하운동 628
15.5 위 629
해부학 629
위 분비물 630
위 운동 633
15.6 소장 636
해부학 636
분비 637
소장의 소화와 흡수 641
소장의 운동 647
15.7 대장 648
해부학 648
대장의 분비, 소화, 흡수 649
대장의 운동과 배변 649
15.8 소화계의 병리학 650
궤양 650
구토 652
담석 652
젖당 불내증 653
변비와 설사 653
15장 임상사례 연구 659
연습문제 660
생리적 의문의 답 662

16 유기 물질대사와 에너지 균형의 조절?663
A절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의 조절과 통합 664
16.1 흡수 및 공복 상태의 일들 664
흡수 상태 664
공복 상태 668
16.2 흡수 및 공복 상태의 내분비 및 신경 조절 670
인슐린 670
글루카곤 674
간과 지방조직에 대한 에피네프린과 교감신경의 작용 675
코르티솔 676
성장호르몬 676
저혈당증 676
16.3 운동과 스트레스의 에너지 항상성 677
B절 신체의 총 에너지 균형 조절 680
16.4 에너지 소비의 일반 원칙 680
대사율 680
16.5 신체의 총 에너지 저장의 조절 681
음식물 섭취 조절 682
과체중과 비만 684
섭식 장애: 거식증과 포식증 685
우리는 무엇을 먹어야 하는가? 685
C절 체온조절 687
16.6 체온조절의 일반원칙 687
열 손실 또는 획득의 기작 687
체온조절 반사 688
온도 순응 690
16.7 발열과 고열 690
16장 임상사례 연구 694
연습문제 697
생리적 의문의 답 699

17 생식?701
A절 배우자 형성과정, 성 결정 및 성 분화. 생식 내분비학의 일반 원리 702
17.1 배우자 형성과정 702
17.2 성의 결정 704
17.3 성 분화 704
생식샘의 분화 704
내·외부 생식기의 분화 704
태아 및 신생아 프로그래밍 708
뇌의 성적 분화 708
17.4 생식 내분비학의 일반 원칙 708
안드로겐 709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 709
생식샘 스테로이드의 효과 710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조절 710
B절 남성 생식의 생리학 712
17.5 해부학 712
17.6 정자형성과정 713
세르톨리 세포 714
라이디히 세포 714
성숙한 정자의 생산 714
17.7 정자의 이동 715
발기 716
사정 716
17.8 남성 생식기능의 호르몬적 조절 717
정소의 조절 717
테스토스테론 718
17.9 사춘기 718
2차 성징과 성장 719
행동 719
동화성 스테로이드의 사용 719
17.1 생식기능저하증 719
17.11 남성 갱년기 720
C절 여성 생식의 생리학 722
17.12 해부학 722
17.13 난소 기능 723
난자형성과정 723
여포의 성장 724
황체의 형성 725
난소호르몬의 합성 장소 725
17.14 난소 기능의 조절 726
초기 및 중기 여포 발생과 에스트로젠 합성 727
황체호르몬의 급증과 배란 728
황체기 729
17.15 월경주기 중 자궁의 변화 730
17.16 생식샘 스테로이드의 추가적인 효과 731
17.17 사춘기 732
17.18 여성의 성적 반응 733
17.19 폐경기 733
D절 일생 동안의 임신, 피임, 불임 그리고 호르몬 변화 736
17.2 수정과 초기 발생 736
난자의 이동 736
성교, 정자 이동과 수정능 획득 736
수정 736
초기 발생, 착상과 태반 형성 737
17.21 임신 중 호르몬 및 기타 변화 741
자간전증과 입덧 742
17.22 분만과 수유 743
분만 743
수유 745
17.23 피임과 불임 747
피임 747
불임 748
17.24 일생 동안의 생식 관련 호르몬의 요약 749
17장 임상사례 연구 752
연습문제 754
생리적 의문의 답 755

18 면역계?757
18.1 면역 방어를 매개하는 세포와 분비물 758
면역세포 758
면역세포 분비물: 사이토카인 759
18.2 선천 면역반응 760
신체 표면에서의 방어 760
염증 761
인터페론 765
톨-유사 수용체 765
18.3 적응 면역반응 766
개요 766
림프기관과 림프구 기원 767
체액 및 세포-매개 반응: B세포와 T세포의 기능 768
림프구 수용체 771
T세포에 대한 항원제시 773
NK세포 774
면역관용의 발달 775
항체-매개 면역반응: 세균, 세포 외 바이러스와
독소에 대한 방어 775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암세포에 대한 방어 779
18.4 감염의 전신적 징후 781
18.5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변화시키는 요인 781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AIDS) 783
항생제 784
18.6 해로운 면역반응 785
이식거부 785
수혈반응 785
과민증 787
자가면역질환 788
과도한 염증반응 789
18장 임상사례 연구 795
연습문제 798
생리적 의문의 답 799

19 의료 생리학: 임상 사례를 이용한 통합?801
A절 심계항진과 열 민감증이 있는 여성의 사례 802
19.1 사례 제시 802
19.2 신체검사 802
19.3 실험실 시험 803
19.4 진단 804
19.5 생리학적 통합 805
19.6 치료 806
B절 장시간 비행 후 흉통을 느낀 사람의 사례 807
19.7 사례 제시 807
19.8 신체검사 807
19.9 실험실 시험 808
19.1 진단 808
19.11 생리학적 통합 809
19.12 치료 810
C절 복통, 발열, 순환부전을 가진 남성의 사례 811
19.13 사례 제시 811
19.14 신체검사 811
19.15 실험실 시험 811
19.16 진단 812
19.17 생리학적 통합 813
19.18 치료법 814
D절 메스꺼움, 홍조, 발한을 겪는 대학생의 사례 815
19.19 사례 제시 815
19.2 신체검사 816
19.21 실험실 시험 816
19.22 진단 816
19.23 생리학적 통합 818
19.24 치료 818

부록 A 연습문제 해답 820
부록 B 의학 용어 목록 844
부록 C 혈액에서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변수의 농도 범위 848
찾아보기 851
     Contents
     독자서평
※서평을 쓰시면 관리자 확인 후 일정 포인트(1,000포인트이상)의 적립금을 적립해 드립니다.



카테고리


 

 

 

 

회사소개  |  FAQ  |  물어보기  |  ID,PWD찾기  |  E-mail  |  Foreigner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출판의뢰  |  대량주문
▲Top  
매장주소: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168 마곡747타워 1303호(지하철5호선 마곡역 6번출구)

전화: 02-763-9188 | 팩스: 02-763-5490 |

HP: 010-3750-5497 | 대표: 주필체 | 사업자: 130-90-16309 [통신판매]제 01-3604호 
Copyright 2001 by 바이오메디북(Biomedbook)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