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lfgang Jost 교수는 통증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이자 신경과 전문의이다. 그는 독일 블랙 포레스트에 있는 오르테나우 파킨슨 병원의 의료 책임자이며, 파킨슨병, 기타 운동장애, 편두통 및 두통 치료 전문이다. Wolfgang Jost 교수는 특히 근육긴장이상 및 경련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보톡스 사용 분야에서 다년간의 임상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근전도 및 초음파 지도 전문가로 정기적으로 관련 해부학 강의를 하고 있으며, 교과서를 포함하여 많은 출판물을 저술하고 편집했다. Wolfgang Jost 교수는 운동장애학회, 독일신경과학회, 독일파킨슨병협회, 보톡스대책위원회 및 국제신경독소협회(2019-2023 협회 이사)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세 번째 서문] 이 책은 10년 전에 처음 출판되었는데, 그 당시 우리는 대부분의 해부학 그림책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당 내용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우리는 일반적인 사용 영역 이외에도 보다 다양한 임상 영역에서 보톡스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빨리 알아챌 수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책에 해부학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필요한 일부 해부학적 정보를 수정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초음파영상의 사용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내용을 반영하였다. COL-CAP(collum-caput) 개념의 도입은 목근육긴장이상 치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오늘날 우리는 이전과는 다르게 임상결과를 생각하고 다른 용량으로 다른 근육들에 주사한다. 또 다른 결정적인 발전은 많은 새로운 연구들과 임상 적용 승인 예들에서 볼 수 있다.
우리는 위에서 언급한 모든 점을 이 새 판에 통합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동시에 초음파 그림책을 만들기 보다는 오히려 이 책이 다른 추가 보조없이 근전도 및 초음파 유도하에 정확한 보톡스 주사를 시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만 한다는 독창적이고 성공적인 개념을 유지했다. 초음파 영상들도 대학병원 수준의 초음파 커리큘럼이 아닌 1차 의원 수준의 것을 따른다. 이 책에 사용된 초음파영상의 대부분은 ACUSON S2000을 이용한 것이다. 새로 포함된 수많은 내용들이 보톡스를 이용한 독자들의 치료에 보다 유용하고 쉽게 적용되기를 바란다.
처음 두 판과 마찬가지로 관련된 많은 분들께 감사드린다. 이들은 KVM 출판사의 직원들, 특히 그래픽 디자이너 David K?hn, 편집자 Renate Mannaa와 K.-P. Valerius, 사진작가 Martin Kreutter와 Margot Sch?nrock-Kimmich, 동료 Gerhard Reichel와 Laurent Tatu, 사진 모델 Nadine M?nchemeyer, Katrin M?ller, Nina-Carissima Sch?nrock, Malte Sch?fer, Steffen Schwinn, 초음파영상 담당 Junes Amini와 Florian Kottirsch, 그리고 비서 Tanja Fiesel이다. 모두가 이 프로젝트를 위해 많은 시간, 에너지 및 인내를 투자했으며, 내 이름은 전체 팀을 대표할 뿐이다.
더욱 새로워진 이번 판을 즐기기 바란다. 2019년 4월, 볼파흐에서 Wolfgang Jost
*** [역자 서문] 통증에 보톡스를 사용한 역사는 오래되지만 국내의 여러가지 열악한 보험 허가사항이나 제도적 한계점으로 인해 임상에서 쉽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근육의 긴장이나 이완 그리고 포착으로 인한 주변의 여러가지 신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에 좋은 임상 효과를 나타낸다는 문헌적 임상 근거가 충분함에도 아직은 아쉽기만 합니다. 오래전 역사는 소아마비나 뇌졸증 후에 생기는 근육의 강직이나 위축?등에 사용으로부터 시작되어 통증 질환 뿐만 아니라 다한증, 안면경련 등의 다양한 임상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임상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서적의 필요성이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습니다. 오래전부터 이러한 요구가 있어 초음파 영상을 활용한 교재 제작을 구성하기에 앞서 좋은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는 서적이 있어 소개하고 싶은 마음에 본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 통증 치료에 모든 초점이 맞추어 지지 않았지만 실제 적용시에 참고할 수 있는 좋은 기본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고 생각되고 추후 집필을 통해 번역 서적에서 아쉬웠던 점을 보완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여러 약제의 기본 특성과 근육의 특징 및 주사시의 주의점들은 통증 치료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물의 용어와 위치들은 해부학자 역자 교수님들이 정확하게 검토해 주셨습니다. 힘든 작업이지만 흔쾌히 함께 하는 작업을 수락해 주신 해부학교실 양미영, 원형선 교수님께 감사 마음 전합니다. 통증 발생에 대한 임상 의사의 무지한 질문에 항상 진지하고 정확한 정보와 열정으로 도움주시는 두 분 교수님 덕분에 통증 치료 의사로서의 새로운 지식의 업데이트가 계속되고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제생의세 임상해부연구소를 통해 지속적으로 꽃피워 나갈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오랜 시간 항상 묵묵히 도움 주시는 도서출판 메디안북의 김용덕 사장님과 사랑하는 원광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식구들에게도 항상 감사의 마음 가지고 있습니다. 혼자라고 생각하면 외롭고 쓸쓸하지만 함께 한다 생각하니 비록 부족한 저 자신이지만 한없이 든든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통증 공부의 여정입니다.
2021년 무더운 여름, 시간의 약을 먹으면서 역자대표 김연동
|